순수 참여와 다극화시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3 06:08본문
Download : 순수 참여와 다극화시대.hwp
모순된 현실에 분노와 절망을 보이면서도 끝까지 희망을 잃지 않는 민중들…(省略)
순수·참여와 다극화시대에 대한 글입니다.1960년대시의경향및감 , 순수 참여와 다극화시대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1960년대시의경향및감
다. 제3연에서는 자연에 순응할 줄 아는 벼의 속성을 들어 민중이 어질고 현명한 존재임을 밝히고 있다아 제4연에서는 벼의 강인한 생명력에 빗대어, 고난과 시련에도 굴하지 않고 역싸의 주체로 일어서는 강한 민중의 생명력을 예찬하고 있다아 자기희생의 실천을 통해 민족공동체의 소망스런 삶의 길이 열린다는 주제의식이 집약적으로 나타나 있다아
이 작품은 역싸와 현실에 깊은 관심을 보이며 억압과 소외의 현실에 대한 고발과 함께 민중의 건강성과 생명력을 지속적으로 노래함으로써 현실극복의 적극적인 의지를 천명해온 이성부의 작품세계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 참여시이다.레포트/인문사회






순수 참여와 다극화시대
순수·참여와 다극화시대에 대한 글입니다. 개체로서의 민중의 삶을 상징하는 벼의 이미지를 통해 단독으로 존재할 때와 달리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서로 단합하면 역싸의 주체로서 저력을 발휘하는 민중의 건강한 생명의지를 남성적이며 격정적인 어조로 노래하고 있다아
전4연으로 이루어진 자유시로 내재율을 지니고 있다아 시의 제재는 벼이며, 주제는 벼의 강인한 생명력 또는 서민들의 삶에 대한 연민이라고 할 수 있다아 상징적·낭만적·예찬적 성격을 보이는 민중시로서, 이 시의 core적 이미지인 ꡐ벼ꡑ의 다양한 형상을 통해 민중적 삶의 모습인 자기희생, 끈질긴 생명력, 이웃에 대한 넉넉한 사랑 등을 비유와 상징기법으로 형상화시키고 있다아 표현상의 특징으로 의인법을 들 수 있다아 이 시는 내용상 기승전결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아
제1연에서는 벼의 외면적 모습에 빗대 온갖 고난을 이겨낸 꿋꿋한 민중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다아 제2연에서는 벼의 내면적 덕성을 들어 민중의 저력을 이야기한다.
순서
Download : 순수 참여와 다극화시대.hwp( 98 )
【시에 대한 감상, 경향 및 평가】 : 이성부의 두번째 시집 《우리들의 양식》(1974)에 수록되어 있다아 1970년대의 암울한 사회적 분위기가 반영된 작품으로, ꡐ벼ꡑ라는 생명표상을 통해 민중의 강인한 생명력과 공동체적 유대감을 보여주는 민중 예찬적인 참여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