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 중견 리더들의 성격유형과 변형적 리더십간의 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1 14:29본문
Download : 군대 중견 리더들의 성격유형과 변형적 리더십간의 관계.hwp
<표 Ⅳ-9> T-F 지표와 리더십 변인간의 average(평균) 차이검증
*p<.05 **p<.01 ***p<.001, # : n=424(T: 347, F: 77), 7점 척도, ## : n=374(T: 306, F: 68), 5점 척도
이를 analysis(분석) 해 보면, 사고형(T)은 비전제시(t=-2.46, p<.01), 모범적 행동(t=-1.92, p<.05), 높은 과업성취기대(t=-2.57, p<.01), 지적 자극(t=-1.95, p<.05), 그리고 리더십 효과(效果)성(t=-2.98, p<.01) 등…(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군대 중견 리더들의 성격유형과 변형적 리더십간의 관계.hwp( 37 )
군대중견리더들의성격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다.
T-F 지표와 리더십 변인간의 average(평균) 차이검증을 한 결과는 <표 Ⅳ-9>과 같다.
순서
군대 중견 리더들의 성격유형과 변형적 리더십간의 관계에 대한 글입니다.군대중견리더들의성격 , 군대 중견 리더들의 성격유형과 변형적 리더십간의 관계인문사회레포트 ,
군대 중견 리더들의 성격유형과 변형적 리더십간의 관계
Ⅰ. 서 론 Ⅳ. 결과 및 해석
1. 문제제기 1. 성격유형별 분포
2. 연구문제 2. 선호유형과 변형적 리더십간의
3. 가설설정 관계
Ⅱ. theory(이론)적 배경 3. 선호유형간의 조합과 변형적
1. 리더십 리더십간의 관계
2. 성격유형 4. MBTI 성격유형과 변형적
3. 성격유형과 리더십 리더십간의 관계
Ⅲ. 연구방법 Ⅴ. 논의 및 conclusion(결론)
1. 연구대상 1. 요약 및 논의
2. 측정(測定) 도구 2. conclusion(결론) 및 제언
3. 실시절차 출처
4. data(자료)처리 <부록>
이를 analysis(분석) 해 보면, 감각형(S)은 目標(목표)수용촉구(t=-3.56, p<.001) 변인에서 직관형보다 크게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현실적인 감각과 즉각적인 임무수행을 요구하는 군대조직의 속성 을 고려할 때 충분히 예상되는 결과라 볼 수 있으며, 직관형(N)의 경우도 감각형에 비해 지적 자극(t=3.95, p<.001) 변인에서 크게 높게 나타났는데, 이 또한 업무수행에 있어 전통적인 방식보다는 새로운 alteration(변화) 를 추구하는 직관형의 속성 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따 그리고 비전제시의 경우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는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직관형의 속성 으로서 p<.05 수준 가깝게 나타났다.
군대 중견 리더들의 성격유형과 변형적 리더십간의 관계에 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