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도르노의 history(역사) 철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3 04:49
본문
Download : 아도르노의 역사철학.hwp





레포트/인문사회
아도르노의history(역사) 철학
,인문사회,레포트
아도르노의 역사철학아도르노의역사철학 , 아도르노의 역사철학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Download : 아도르노의 역사철학.hwp( 71 )
아도르노의 history(역사) 철학
설명
아도르노의 생애(1903.9.11-19698.6)
1. 1924 : 후설 현상학에 있어서의 사물적인 것과 노에마적인 것의 초월성(한스 코르넬리우스)
2. 1927 : 초월적 정신론에 있어서의 무의식의 定義(정의) (하빌리)
3. 1931 : 키에르케고르에 있어서의 미적인 것의 구성(파울 틸리히 지도, 하빌리)
4. 1931-33 : 프랑크푸르트 사강사
5. 1933,9,11 : 나치에 의해 강의 자격 박탈, 옥스포트 머튼 칼리지에서 만하임과 교유,
헤겔연구 본격화, “인식론에 대한 메타비판”의 초안으로 학위 준비.
6. 1938 : 뉴욕으로 이주, 파울 라자스펠트가 주도하는 프린스톤 라디오 리서치 프로젝트에 참여.
7. 1941-49 : 로스앤젤레스에 정착,“계몽의 변증법”, “미니마 모랄리아”, “신음악의 철학”
8. 1944 : 반유대주의 문제 연구, “권위주의적 성격”
9. 1949 : 프랑크푸르트에 귀환.
10. 1953 :사회연구소 공동소장,58년부터 단독 소장직 수행.(56년에 정교수, 하버마스
조교,60년에 알프레드 슈미트 조교)
11. 1961 :튀빙겐 독일 사회학 대회에서 사회과학의 논리에 대한 발제를 둘러싸고 포퍼와 실증주의논쟁을 벌임.
12. 1969,1,31 :사회연구소 점거, 경찰력 동원하여 학생들을 퇴거시킴, 여름학기 강의 중단, 스위스 비스프에서 심장마비로 사망.
아도르노 사상의 주요 定義(정의)
이차적 자연
아도르노는 도구적 이성이 지배하는 근대 이후의 세계를 제2의 자연이라고 부른다. 제2의 자연은 관습의 세계 경직된 history 사회적인 자연으로 규정된다 이 의미 없고 소외된 대강으로서의 세계 죽은 내면성의 납골당이 제2의 자연이다. 이런 면에서 제2의 자연은 사실은 제 1의 자연으로 신화적이고…(투비컨티뉴드 )
아도르노의 history(역사) 철학
다. 이것은 변경할 수 없고 지양할 수없으며 강압적으로 내리누르는 법칙성이라는 의미에서의 자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