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歷史(역사)] culture계몽운동의 지방 확산과 성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03:34
본문
Download : 원영식-문화계몽운동.hwp
- 초기부터 지방지회의 설립에 적극적
* 대한협회(1907년 11월 창립)
- 설립 초기에는 독립협회와 마찬가지로 지회 설립에 소극적 태도
- 지방지회 설치의 시초 (민중에 대한 직접적 계몽)
(1) 참가층의 사회경제적 조건
1) 지방지회의 교육운동
민족적 차원의 문제 → 서울 중심의 논의 가능
2. 지방지회의 계몽운동
3. 민중층의 동향과 지방지회
* 독립협회(1896년 7월 창립)
1. 지방지회의 설립과 참가층
, 기호흥학회 1908년 1월 기호畿湖지방을 중심으로 교육진흥과 지역개발을 위해 설립된 애국계몽운동단체. 기본정신은 기호지방에 한정된 것이 아닌 전국적인 계몽운동이며 정치적이 아닌 교육적인 운동임을 밝혔다.
1) 지방지회의 설립
- 지방의 지회 인허 요청-재촉 → 설립 규정 마련(大韓自强會支會設立方法, 1906.7)
계몽운동의 목표(goal)
논문수준의 보고서 입니다. 초대 회장은 이용직李容稙, 부회장은 지석영池錫永이었다.
- 광범한 민중의 지지기반 확보, 세력 확산 (궁정 또는 서울 중심의 개혁운동의 한계 절감)
2) 의병전쟁과 지방지회
실력양성(교육, 식산흥업)
2) 지방지회의 식산흥업활동
문화계몽운동의지방확, 문화계몽운동, 문화계몽운동의, 문화계몽
순서
다. 그대로 제출하는 일은 없길 바라며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보고서를 작성하여 A+받으시기 바랍니다. 되는 유식층有識層의 반만 확보한다는 방침
(2) 참가층의 이념적 성격과 유교지식인
국권회복
- 서우학회西友學會(1906년 10월 창립), 서북학회 1908년 1월, 관서지방의 서우학회西友學會와 관북지방의 한북학회漢北學會를 통합해 설립한 애국계몽단체. 중심 인물은 이동휘李東輝ㆍ안창호安昌浩ㆍ박은식朴殷植ㆍ이갑李甲ㆍ유동열柳東說ㆍ최재학崔在學 등이다. 1910년 9월 일제에 의해 강제 해산되었다. 서울에 총사무소를 두고, 31개 지역에 지회를 설치하는 한편 69개 지역에 지교支校를 두었다. 그대로 제출하는 일은 없길 바라며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보고서를 작성하여 A+받으시기 바랍니다. 같은해 8월 《기호흥학회월보》를 창간 1909년 7월까지 통권 12호를 펴냈다.
2) 지방지회의 참가층
(2) 지방지회 설립 단체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歷史(역사)] culture계몽운동의 지방 확산과 성격
Download : 원영식-문화계몽운동.hwp( 50 )
설명
* 대한자강회(1906년 3월 창립)
(1) 지방지회의 피료썽





1. 지방지회의 설립과 참가층
- 계몽운동단체의 이념에 동조하고 개혁사업에 동참할 수 있는 동맹세력 확보
1) 농민수탈문제와 지방지회
* 기타 학회
1) 지방지회의 설립
- 대한자강회의 기존조직 그대로 인수, 각종 학회의 지방 확산
- 지방지회 설치에 소극적 태도: 이념적으로 민중과의 연합 불가능, 민중층 배제
서울에서 정치를 통한 해결 불가능 → 지방으로 확산 필요
- 농업-공업-상업-노동자와 같은 무학무지배無學無智輩 등 민중층 제외, 약 10만 명으로 추산
- 설치 단계에서도 가능한 한 억제 (까다로운 조건)
논문수준의 보고서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