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와 4.3사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3 23:04
본문
Download : 제주도와 43사건.hwp
남로당의 4.3 봉기에 제주도민이 어쩔 수 없이 따랐든, 동조를 한 것은 1947년 3.1 시위와 3.10 관민 총파업 이후 외지 경찰과 서청원들이 대거 투입되어 고문, 감금, 테러를 하고, 금품을 빼앗고, 강간을 하는 등 만행을 저지른 데 대한…(省略)
제주도와 4.3사건
제주도 , 제주도와 4.3사건경영경제레포트 ,
,경영경제,레포트
제주도






레포트/경영경제
다.
해방 후 제주도의 상황을 살펴보면 제주도는 어느 곳보다 좌우가 연합하여 치안을 자치적으로 수행하는 등 ‘해방의 맛’을 누리며 활동하였다.
Download : 제주도와 43사건.hwp( 56 )
순서
설명
1. 서론
1.1 문제제기.
1.2 연구 대상의 범위.
1.3 연구 방법 紹介(소개).
1.4 연구 의의.
1.5 4.3 사건 개요.
2. 수정주의로 본 4.3 항쟁
2.1 제주도를 조선의 축도로 볼 수 있는 이유
2.2 한반도의 축도인 제주도의 인민위원회 성격과 사회주의와의 관계
2.3 민중과 남로당과의 관계
3. 4.3 사건 전후의 제주도 민중의 계급의식
3.1 해방 이후의 제주도의 사회 상황
3.2 1947년 3.1운동 사건의 성격
3.3 제주도 사회단체들의 성격 變化(변화) - 사회주의적 성향에서 민족주의적 성향으로
4. 제주도의 배타성
4.1 제주도의 배타성
4.2 제주도 관공 요직에서 제주도민 배제
4.3 일부 경찰과 공무원의 부정 행위
4.4 혈연관계에 따른 복수전
5. 밀수입과 부패
5.1 밀수의 천국-제주
5.2 복시환 사건-경찰의 개입
5.3 민중과 관경의 괴리감 증대
6. 소수 경찰의 폭력 남용
6.1 사살한 집단의 범위
6.2 경관 파업 참가
7.conclusion(결론)
2. 수정주의로 본 4.3 항쟁
2.1 제주도를 조선의 축도로 볼 수 있는 이유
제주도는 해방 후 좌익세력이 상당히 강하였고, 인민위원회를 통하여 위력을 발휘했는데, 타도로부터 들어온 경찰이 도민에게 가혹히 하였고, 사설단체의 폭력행위로 도민의 감정을 도발하는 등 제주도의 민심은 완전히 관에서 이탈했다. 해방 직후에는 제주도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좌익세가 강하였고, 제주도만큼 오래 지속된 것은 아니지만 각지에 도 단위, 군 단위에서 면 단위, 리, 동 단위에 이르기까지 인민위원회가 있었다. 또 미 군정이 설치되면서 일제에 복무한 경찰을 모두 다시 불러 근무시킨 것은 해방의 의미를 지우는 것이었고, 민들의 원성의 표적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