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리아 영화 비평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6 13:42
본문
Download : 사마리아 영화 비평문.hwp
즉, 여진은 그가 관계를 맺고 재영이 받았던 돈을 돌려주는 남자에겐 바수밀다나 마리아같은 존재지만, 영기에게 있어서는 ‘죽은’ 마리아이거나, 죄를 잉태하고 있으나 돌로 내려칠수는 없는 존재인 것이다.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Download : 사마리아 영화 비평문.hwp( 82 )
김기덕 감독의 영화 `사마리아`에 대한 비평문입니다. 물론 원조교제, 혹은 미성년자 성매매를 하거나 미성년자와 성관계를 맺길 원하는 남성들이 ‘사마리아’와 같은 생각을 가질 가능성은 없지만, 그들은 예전처럼 어둡고 음침한 분위기에서 ‘슬픔’이나 ‘폭력’을 안고서 관계를 맺지 않는다. 여성은 스스로 바수밀다가 되려하지만, 남성은 그것을 자기 스스로 처벌함으로서 자신의 딸을 ‘그렇게 만든’ 남자들에게 복수를 하려한…(To be continued )
순서
다. 물론 어쩔 수 없는 상황에 의해 성매매를 택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적어도 일반적인 가정에서 살면서 성매매를 선택한 경우는 자발적으로, 말그대로 돈때문이거나 재밌어서 선택한 것이고, 아버지가 그런식의 처벌을 가하는 것을 원치 않을 것이다. 그런데 그 아버지는 이것을 처벌하려하고, 여기서 종교적인 문제는 여성에서 남성으로 옮겨간다. 그것은 여진과 같은 아이에게 있어 자신의 문제일 뿐이다. 많은 활용이 있으리라 생각하며,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래요.

김기덕 감독의 영화 `사마리아`에 대한 비평문입니다. 문제는 종교적 상징이 쓰였다는 것이 아니라, 그 상징을 통해 김기덕이 말하는 것이 무엇이고, 그것이 어떤 사고의 틀을 가지고 보는 사람에게도 성찰할 수 있는 부분을 던져주느냐는 것이다. 이것은 ‘사마리아’의 분위기 때문에 굉장히 은유적인 문제로 비춰질수도 있지만, 사실 지금 한국의 현실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많은 활용이 있으리라 생각하며,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래요. , 사마리아 영화 비평문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사마리아 영화 비평문
이 작품은 스토리 자체가 노골적으로 여성의 성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지만, 그만큼 또 노골적으로 그것을 종교적인 문제로 연결시키고 있다 이것을 남과 여의 문제로 볼 것인가, 혹은 종교적인 문제로 볼 것인가. 페미니즘으로 이 영화를 푼다면 이 영화는 불쾌한 영화가 될 것이고, 은유적이고 상징적인 종교의 문제로 본다면 이 영화는 굉장히 심오한 영화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한가지 간과하지 말아야할 것은, 영화에 마주향하여 어떤 비평을 해야한다는 것은 ‘선택’해야할 문제가 아니라 영화가 드러내는 것을 종합적으로 바라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