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 기계공학experiment(실험) - 인장experiment(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8 04:14
본문
Download : [공학] 기계공학실험 - 인장실험.hwp
즉, 하중을
제거한 후 명백한 영구 변형이 일어난다. 또 OA 구간을 넘어서 다시 하중을 …(省略)
순서
[공학] 기계공학experiment(실험) - 인장experiment(실험)
[공학] 기계공학experiment(실험) - 인장experiment(실험)
실험과제/기계
공학,기계공학실험,인장실험,기계,실험과제
설명
![[공학]%20기계공학실험%20-%20인장실험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A%B8%B0%EA%B3%84%EA%B3%B5%ED%95%99%EC%8B%A4%ED%97%98%20-%20%EC%9D%B8%EC%9E%A5%EC%8B%A4%ED%97%98_hwp_01.gif)
![[공학]%20기계공학실험%20-%20인장실험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A%B8%B0%EA%B3%84%EA%B3%B5%ED%95%99%EC%8B%A4%ED%97%98%20-%20%EC%9D%B8%EC%9E%A5%EC%8B%A4%ED%97%98_hwp_02.gif)
![[공학]%20기계공학실험%20-%20인장실험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A%B8%B0%EA%B3%84%EA%B3%B5%ED%95%99%EC%8B%A4%ED%97%98%20-%20%EC%9D%B8%EC%9E%A5%EC%8B%A4%ED%97%98_hwp_03.gif)
![[공학]%20기계공학실험%20-%20인장실험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A%B8%B0%EA%B3%84%EA%B3%B5%ED%95%99%EC%8B%A4%ED%97%98%20-%20%EC%9D%B8%EC%9E%A5%EC%8B%A4%ED%97%98_hwp_04.gif)
![[공학]%20기계공학실험%20-%20인장실험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A%B8%B0%EA%B3%84%EA%B3%B5%ED%95%99%EC%8B%A4%ED%97%98%20-%20%EC%9D%B8%EC%9E%A5%EC%8B%A4%ED%97%98_hwp_05.gif)
Download : [공학] 기계공학실험 - 인장실험.hwp( 41 )
다.
[2]theory
1) 항복점(Yield Point)
인장시험을 하는 도중 초기 단계에서는 시험편 평행부가 하중의 증가에 비례하여 늘어나며 어느 한도에 달하면 하중을 그 이상 증가 시키지 않아도 계속 늘어난다. 이러한 점을 항복점이라 고 한다.
[공학] 기계공학실험 - 인장실험 , [공학] 기계공학실험 - 인장실험기계실험과제 , 공학 기계공학실험 인장실험
━인장시험━━━━━━━━━━━━━━━━━━━━━━━━━━━━━━━━━━━━━
[1]시험 목적
세 가지 재료(al2024, SM20C, SUS303)의 시험편에 정적인장하중을 가하여 시험편이
변형되는 과정과 STRESSalteration(변화) 에 따른 STRAIN의 alteration(변화) 의 NORMAL STRESS-STRAIN CURVE를 조사하여 등의 값을 구한다.
2) 인장강도
시험편이 절단 되었을 때의 하중이며 최대 인장 하중을 시험편 평행부의 원단면적으로 나눈 값, 즉 재료의 강도는 단면적에 대 한 저항력으로 표시된다
3) 변형률
인장 시험 시 시험편이 파괴되기 직전에 있어 표점거리를 측정(測定) 하고, 늘어난 후의 길이를 L`(mm)와 처음 표점거리 L(mm)와의 차를 처음의 표점거리 L로 나눈 값
4) 응력 변형률 선도
금속 재료의 강도를 알기 위한 인장시험에서는 시험편을 인장하는 힘의 크기와 시험편의 연신이 기록된다 이것은 하중과 연신을 좌표축에 취한 것이며, 연강과 같은 경우는 아래 그림과 같다. 응력이 커지면 변형량도 커지며, 그 재료가 견딜 수 없는 응력에 도달하면 드디어 파괴된다 이렇게 응력과 변형량 사이의 alteration(변화) 를 표시하는 그림을 응력-변형 곡선이라 한다.
G` :진변형
G :Engineering적 변형
E :극한 항복점
C :상 항복점
D :하 항복점
B : 항복점
위 그림에 있어 곡선상의 OA 는 직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외부에 걸리는 하중과 재료의 연신이 비례하고 있는데 이 A 점의 하중 WA를 시험편의 원단면적 A0 로 나눈 값을 비례한도(Proportional limit)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