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가.. 20 20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8 23:46
본문
Download : 사상가.. 20 20 .pptx
2. 계절에 따르는 교육적 결과 에 관심을 두고, 하계강습회인 하과 를 실시하였고, 각촉부시 라는 시험도 있었다.
십이도의 중심인물중 한명은 최충이다.
문하시중(고려 시대에, 중서문하성의 종일품 으뜸 벼슬) 을 지낸 최충은 오랫동안 관직에 종사하다가 국자감의 쇠퇴와 유학의 부진을 한탄하며 관직에서 물러나, 사재를 털어 구재를 짓고 유생들을 가르쳤다.설명
_SLIDE_1_
고려시대의 사상가
_SLIDE_2_
01. 최충 (0984년 ~ 1068년)
최충은 고려 문종 때의 문신이자 학자이고, 호는 문헌입니다
십이도- 십이도는 고려 문중 이후 개성에 있던 열두 개 사립학교를 총칭하는 것으로 우리나라 역사(歷史)상 가장 수준이 높고 훌륭한 사립교육기관 이다.
일종의 모의 과거시…(To be continued )
레포트/인문사회
사상가.. 20 20
사상,인문사회,레포트
사상가.. 20 20 , 사상가.. 20 20 인문사회레포트 , 사상
순서
사상가.. 20 20
Download : 사상가.. 20 20 .pptx( 55 )
다.
_SLIDE_3_
구재는 유학경전을 단위로 구성한것 이며 그 이름은 낙성재, 대중재, 성명재, 경업재, 조도재, 솔성재, 진덕재, 대화재, 대빙재 이다.
문헌공도의 교육적목적
유교적 인격의 함양과 과거시험 준비.
_SLIDE_4_
최충의 교육방법
1. 문도 중에서 선발된 교도에 의해 오경삼사를 가르치게 하는 조교제 를 실시하였다.
-하과: 매년 여름 9재의 학도들이 사찰에서 학습하는 습속으로, 산수를 노래하고 소요자재하며 성정을 도야하는 하계강습회를 개최하는것 을 말함.
-각촉부시: 초에 일정한 표시를 하여 그 선에 초가 타들어 갈때까지 부과된 시를 짓도록 하는 교육방법으로 속성 시 짓기 시험이었다.
고려시대 시문의 대가 이제현은 “위로는 귀관으로부터, 아래로는 주현에 거주하는 자에 이르기까지 다 구재에 이름을 걸고 성인의 도를 익혔다” 는 기록에서 볼때 구재는 날로 흥해서 유생들로 문전성시 (찾아오는 사람이 많아 집 문 앞이 시장을 이루다시피 함을 이르는 말.)를 이루었다는 것을 알 수있따
최충의 구재는 그의 관직을 따라 시중 최공도 혹은 호를 따라 문헌공도 라고 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