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의 사학사적 의미-이기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2 03:25
본문
Download : 삼국유사의 사학사적 의미-이기백.hwp
그 때문에 『삼국사기』에서 민중 관계 사료를 찾아보기가 힘들다. 게다가 불교관계가 아닌 사화를 편집해놓은 편목이 왕력(왕력)과 기이(기이)의 둘이 있으며 그 분량은 전체의 반이나 된다 따라서 『삼국유사』는 저자 일연의 관심이 가는 사화들을 수집하여 이를 적절히 분류 편집하였다고 보아서 좋을 것이다. 즉 『삼국사기』는 china(중국) 에 있어 경사를 편찬하는 표준적 체제인 기전체(기전체)를 취하게 하였으나 『삼국유사』는 저자의 관심의 각도에 따라서 자유로이 주제를 선택할 여지가 더 많이 허락되는 체재를 갖추게 된 것이다. 일연은 아무런 제약없이관심의 대상이 된 사료들을 수집하여 수록하였으므로 『삼국유사』는 『삼국사…(생략(省略))
Download : 삼국유사의 사학사적 의미-이기백.hwp( 80 )
삼국유사의 사학사적 의미-이기백
설명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삼국유사-이기백
삼국유사의 사학사적 의미-이기백의 대한 리포트입니다.『삼국사기』도 기사를 선택하고 이에 해석을 가미시키고 있지만 주된 편집 대상은 정사로서의 성격상 왕실 중심, 통치자 중심의 사료였다.삼국유사-이기백 , 삼국유사의 사학사적 의미-이기백인문사회레포트 ,



사학서에 경우에는 그것이 지니는 history(역사) 적 의의와 현대적 의의는 크게 다르다.,인문사회,레포트
삼국유사의 사학사적 의미-이기백의 대한 리포트입니다.
다. 이것은 『삼국유사』가 저자 개인의 관심을 최대한으로 나타낼 수 있는 자유로운 형식의 사서류(사서류)인 것을 알 수 있다 『삼국유사』의 편목에는 china(중국) 의 양·당·송 3고승전의 체재를 방불하는 것이 있지만 탑상(탑상)과 같은 편목은 china(중국) 에는 없다. 가령 저술 당시에 있어서는 중요시되던 측면이 현대에 이르러 무가치하게 여겨지고, 그때에는 대수롭지 않던 측면이 도리어 현대에서 높게 평가되기도 한다. 이 점은 두 사서의 체재를 성격이 매우 다른 것으로 만들었다. 이러한 사고방법은 history(역사) 학의 생명으로 history(역사) 적 의의나 현대적 의의는 곧 사학사에서 history(역사) 적 의의요 현대적 의의가 된다
2. 사서로서의 삼국유사
『삼국유사』를 이해하기 위하여는 먼저 『삼국사기』와 비교해보는 것이 하나의 좋은 방법으로 이 두 사서는 150년 가량의 간격을 두고 저술된 우리나라 고대사에 관한 사서의 쌍벽이라 할 수 있는 책이기 때문일것이다
우선 『삼국사기』가 왕명을 받들고 김부식 이하 10여명의 편찬위원들이 편찬한 정사였던 데 대하여, 『삼국유사』는 일연 개인이 편찬한 사찬서(사찬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