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에서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탐구학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12:08
본문
Download : 초등학교에서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활용한.hwp
컴퓨터의 빠른 정보 처리와 조작 능력은 수학에서 연구문제의 성격과 수학의 탐구방법까지도 alteration(변화) 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이미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찬반 논쟁의 시기는 지나온 듯하며, 컴퓨터의 다양한 기능을 교육에 어떻게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것인지 measure(방안) 을 모색하는 것과 컴퓨터로 인하여 생기는 문제점(問題點)이나 역효과에 대한 연구가 당면한 문제라 하겠다. 그러니까 제 3차 교육과정에서부터 6차까지 동일하게 분류하였던 내용을 7차 교육과정에서 바꾸게 된 것이다.순서
GSP(Geometers Sketchpad)는 컴퓨터 화면에서 작도하고 측정하면서 평면 도형의 성질들을 實驗, 탐구할 수 있는 탐구형 소프트웨어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의 도형 영역을 analysis(분석) 하고, 컴퓨터를 활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advantage(장점) 을 최대한 활용하여 초등학교에서 학생 스스로 수학을 탐구할 수 있는 내용과 교수 학습 방법을 모색한다. 그 배경으로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을 들 수 있다 1단계에서 10단계까지 공통으로 분류하게 된 것이다. 교수 요목기에는 영역의 구분 없이 소재별로 지도 내용을 나열하였던 것을 제 1차 교육과정에서는 수, 계산, 분수, 소수, 측정, 표와 그래프, 문제해결과 실무, 형과 도형의 8개 영역으로, 제 2차 교육과정에서는 수, 계산, 양과 측정, 도형, 수량 관계와 응용의 5개 영역으로, 제 3차 교육과정에서는 수, 연산, 관계, 도형, 측도의 5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도 도형 교수 학습방법에 다음과 같이 컴퓨터의 활용을 강조하고 있다 (교육부 1997, P86)
3. GSP를 활용한 탐구학습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초등학교 탐구형소프트웨어 탐구학습 / (교육)
초등학교 탐구형소프트웨어 탐구학습
초등학교 탐구형소프트웨어 탐구학습 / (교육)
2. 제 7차 교육과정에서의 초등학교 도형 영역 analysis(분석)
제 7차 교육과정의 내용 조직은 수와 연산, 도형, 측정, 확률과 통계, 문자와 식, 규칙성과 함수의 6개 영역으로 조정되었다.
1. 서론
다.
2. 제 7차 교육과정에서의 초등학교 도형 영역 analysis(분석)
설명
초등학교에서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탐구학습
도형에서는 직관에 의한 觀察이나 여러 가지 구체적 조작물 및 적절한 컴퓨터 프로그램(program]) 을 활용하여 ...





Download : 초등학교에서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활용한.hwp( 17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수학에 GSP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교수 학습을 하는것이다. 7차 교육과정의 도형영역의 특징이라면 공간 감각 기르기의 소 영역이 신설되었다. 제 4차 교육과정에서는 제 3차와 같은데 다만 순서를 수, 연산, 도형, 측도, 관계로 바꾼 차이가 있다 제 5차와 6차는 제 4차 교육과정과 동일하다. GSP와 같은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고자 하는 것은 그것이 우리에게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학습(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인 조작활동을 통한 탐구 발견 학습)環境을 제공 해줄 수 있기 때문일것이다
그 동안 컴퓨터의 교육적 이용에 관하여 많은 교육학자들의 찬반 논쟁이 이어져 왔으나,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컴퓨터가 차지하고 있는 文化(문화)적 경제적 influence력을 고려하여 볼 때 컴퓨터를 배제한 교육을 생각하기 어렵게 되었으며 future 에는 더욱 그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