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化(문화)로 보면 역사가 달라진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1 04:20본문
Download : 문화로 보면 역사가 달라진다.hwp
성심성의껏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즉 종래의 과학적이고 객관적 사실만을 확인하려던 시각에서 벗어나 좀더 다양한 시각으로 확장해서 바라본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의 읽기는 결국 `깨뜨리기`로 귀결된다 기존의 歷史(역사)서의 서술을 해체하고 비판하는 것이다.hwp( 97 )






,인문사회,레포트
文化(문화)사를보는다양한방법[1]
설명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1. 서 론 (들어가기에 앞서)
2. 신문화사가 걸어온 길
1) 정치사에서 사회사로
2) 마르크스주의 歷史(역사)학과 아날학파
3) 사회사를 넘어서
3. 두껍게 읽기
4. 다르게 읽기
5. 작은 것을 통해 읽기
6. 깨뜨리기
7. 서 평 (글을 정리(arrangement)하며)
歷史(역사)학은 세계의 change(변화)를 초연하게 다루는 고고한 학문인 것 같지만, 사실 歷史(역사)학도 change(변화)하고 있따 외부의 환경에 맞게 change(변화)하기도 하고, 歷史(역사)학 내부에서도 change(변화)하기도 한다. 참고하셔서 좋은 성적 받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다시 말하면 주류에 의해 써왔던 歷史(역사)를 비주류를 통해, 즉 민중이나 여성, 노예 등을 통해 歷史(역사)를 읽는 방법이다. 우리가 자주 접할 수 있는 영상매체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다르게 읽기`란 歷史(역사)학이 전통적으로 유지해왔던 歷史(역사)를 보는 관점과는 다른 맥락에서 歷史(역사)를 파악하려는 시도이다. 문고판으로 짧지만 歷史(역사)를 새롭게 바라보는…(To be continued )
文化(문화)로 보면 역사가 달라진다
다. 아울러 자료 구매하시는 분들을 위해 예쁜 레포트표지도 첨부하였습니다. 이것은 그동안 있어왔던 정치사나 사회사에 반하는 결과이기도 하다. 참고하셔서 좋은 성적 받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작은 것을 통해 읽기`는 단지 歷史(역사) 속에 사라져간 무명인물의 개인적인 歷史(역사)를 복원시키고 그들의 歷史(역사)를 통해 그들로 대변되는 대다수 민중의 삶과 생각을 찾는 방법이다. `두껍게 읽기`는 자연과학과 대비되는 인문과학에서의 글 읽기에 전체가 되는 방법이다. 이렇게 새로운 각도로 바라본다면 우리가 알고 있고, 배워왔던 歷史(역사)는 얼마나 왜곡되고 진실과 거리가 먼지 확인해 볼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