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통일과 교회의 역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4 05:22
본문
Download : 한국의 통일과 교회의 역할.hwp
우선 주 교수는, 통일신학의 정립을 강조하면서, 통일을 준비하는 교회의 일차적인 assignment를, `복음을 모르고 지옥의 심판으로 갈 수밖에 없는 동족에...
우선 주 교수는, 통일신학의 정립을 강조하면서, 통일을 준비하는 교회의 일차적인 과제를, `복음을 모르고 지옥의 심판으로 갈 수밖에 없는 동족에... , 한국의 통일과 교회의 역할경영경제레포트 ,
레포트/경영경제
순서
한국의 통일과 교회의 역할
Download : 한국의 통일과 교회의 역할.hwp( 55 )
,경영경제,레포트
설명
우선 주 교수는, 통일신학의 정립을 강조하면서, 통일을 준비하는 교회의 일차적인 과제課題를, `복음을 모르고 지옥의 심판으로 갈 수밖에 없는 동족에게 생명의 복음을 전파하며 그들도 우리처럼 하나님을 믿고 구원받아 영생의 소망을 갖고 복받은 삶을 살게 하는 것이며 북한에도 하나님의 나라가 확산되게 하는 것`(2)이라고 하고 자신의 연구를 진행시켰다. 교회는 효율의 추구 속에 나타나는 사회적 병폐에 민감하여 경제定義(정이)를 실천하고 청교도 정신에 입각한 건강한 기독교 소비자 文化(문화)를 확산하여 한국자본주의가 기독교 정신에 입각하도…(skip)




다. 그는 먼저 한국 교회 통일론의 전개과정을 4기로 나누어 검토하였는데, 먼저 `승공통일론`에서 `선민주화 후통일론`을 거쳐 복음주의권의 통일운동에 이르기까지를 검토하였다.
주 교수는 또 `통일과 교회의 역할에 대한 통합론적 접근의 necessity need`을 언급하면서, 보수 복음부의 계통의 이원론적 신앙의 모순과 진보 자유주의 진영의 `교화를 통일에 종속시켜서 기독교의 복음을 정치적 평화와 해방으로 왜곡 해석하는 문제`(7)의 한계를 지적하고, `교회는 통일의 능동적 주체가 되어야 하며, 통일은 민족이 화해하고 평화하여 세계선교로 나아갈 수 있는 필수전제조건`(7-8)이라는 `통합론적 사고`를 강조하였으며, 아마도 자신의 주장을 `통합선교학`이라는 새로운 용어 속에 집약하는 한편 `통합론적 접근방법`을 `공적종교집단으로서의 교회와 평신도 역할의 조화`에서 찾으려 하고 있다
주 교수는 또 `분단대립하는 이데올로기에 대한 교회의 입장 정립`을 촉구하면서, 통일 이후에 이룩할 한국 사회상과 관련하여 지금까지 분단 한국을 지배해온 `자유주의 자본주의 공산주의 민족주의 등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기독교적 시각에서의 고찰과 교회의 입장정립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민족주의 민주주의 및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를 장황하게 전개한(10-15) 후 `통일한국은 정치적 민주주의, 시장경제와 복지정책을 민족文化(문화) 속에 혼합한 복지국가가 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