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루터의 두 왕국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3 13:00
본문
Download : 교회사-루터의 두 왕국론.hwp
특히 어거스틴은 이레니우스와 제롬의 전통을 따르며 티코니우스와 같은 사상가에 의해 형성된 북아프리카의…(투비컨티뉴드 )
교회사-루터의 두 왕국론에 대한 글입니다. 어거스틴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아 “따라서 두 도성이란 두 가지 종류의 사랑에 의하여 형성된다된다.(고전 15:46) 따라서 전 인류 중에서 예수 그리스도에게 접붙여진 사람이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있다아 성도들의 도성은 은혜의 선민으로서 위에 있으나 이 땅 위에서 탄생되어 주님의 재림 때까지 그리고 마지막 부활의 날까지 곧 약속하신 왕국이 도래하여 왕의 왕되신 주님께서 영원히 다스리는 그 때까지 이 땅 위에 머문다.” “인류의 두 조상 중 하나는 형 가인이요, 다른 하나는 동생 아벨이다. 전자는 사람들의 도성에 속하고 후자는 하나님의 도성에 속한다. 땅의 도성은 자기 사상에 의해서 전자는 하나님을 경멸하고 후자는 자기를 경멸한다. 이 두 도성은 무한한 질적 차이를 갖는데 이는 기독교인과 자연인과의 거리를 말한다.교회사-루터의두왕국론 , 교회사-루터의 두 왕국론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교회사-루터의 두 왕국론.hwp( 72 )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Ⅰ. 서 론
Ⅱ. 루터의 두 왕국론과 그 논의들
Ⅲ. 어거스틴의 신의 도성
Ⅳ. 토마스 아퀴나스
Ⅴ. 마르실리우스의 『평화 수호자』
Ⅵ. 평가 및 結論
▣ 참고서적
Ⅲ. 어거스틴의 신의 도성
어거스틴은 서로 평행하고 대립하는 두 도성 곧 사람들의 도성과 성도들의 도성에 관하여 말한다.
어거스틴의 두 도성의 개념(槪念)은 다양한 history적 전통과 관련해서 형성되었다.교회사-루터의두왕국론
교회사-루터의 두 왕국론
설명
교회사-루터의 두 왕국론에 대한 글입니다. 그러나 어거스틴에게는 전혀 새로운 개념(槪念)은 아니었다. 인간은 아담의 후예로 먼저 자연인이요, 후에 영적인 사람이 된다된다.
,인문사회,레포트
다. 이미 성경에 나타난 표현이며 교부들의 전통 가운데 널리 유행되었던 개념(槪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