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일동맹과 동북아 국제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4 08:55
본문
Download : 미일동맹과 동북아 국제관계.pptx
레포트/법학행정
미일동맹과 동북아 국제관계
미일동맹과 동북아 국제관계
미일동맹과 동북아 국제관계 , 미일동맹과 동북아 국제관계법학행정레포트 , 미일동맹과 동북아 국제관계
_SLIDE_1_
미일동맹과
동북아 국제관계
_SLIDE_2_
Contents
미일동맹의 역싸
동북아 관계
각국의 상황
동맹이 공고화 되는 이유
日本 의 평화헌법 해석변경
우리나라의 대응plan
_SLIDE_3_
PART 1 미일동맹의 역싸
개론
구(舊) 미일안보조약
: 미국과 日本 의 군사 동맹을 규정한 최초의 조약
신(新) 미일안보조약
냉전기 대소 봉쇄정책을 위해 미국은 日本 에게 적극적 참여 요청
日本 은 미일동맹을 통해 안보부담을 최소화 하고, 국력 향상에 전념 요시다 독트린
냉전기 동맹
_SLIDE_4_
PART 1 미일동맹의 역싸
탈 냉전기 동맹
미일 방위협력지침
미국
: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대한 influence(영향)력 유지 희망
日本 으로부터의 안보비용 부담과 후방지원 확보를 희망
日本
: 안보분야에서도 국력에 상응하는 역할 담당을 희망
_SLIDE_5_
PART 2 동북아 관계
신태평양 공동체 건립을 희망하는 미국과 China의 마찰 발생
日本 은 강력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influence(영향)력 확대와 정치대국화 도모
China은 냉전종식 이후 급성장하여 중요 국가화
21 세기(世紀) 중반까지 미국과 견줄 수 있는 강대국화 추진
China의 급격한 부상은 견제해야 할 대상!
미국과 日本 의 동맹 강화를 초래
_SLIDE_6_
PART 3 각국의 상황
중 국
미국과의 신형대국관계 형성을 통한 동아시아 세력권 형성시도
도련선 확장 계획과 방formula(공식)별구역 선포
센카쿠 열도에 대한 영유권 주장
_SLIDE_7_
PART 3 각국의 상황
미 국
약해진 미국의 리더십 재규정
아시아 지역 아키텍쳐(architecture)
- 동맹이나 파트너들의 안보능력 강화
- 양자주의 외교와 다자주의 외교
미국의 패권전술
스마트 외교
다자협력의 21 세기(世紀) 형 외교정책
세계금융위기…(省略)
Download : 미일동맹과 동북아 국제관계.pptx( 55 )
설명
미일동맹과,동북아,국제관계,법학행정,레포트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