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文化(문화)읽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6 23:51
본문
Download : 민속문화읽기.ppt
순서
관례(성인식)와 회갑
민속culture읽기
민속culture읽기
목차(Index)
성인식(成人式)
2. 회갑(回甲)
진세 - 들돌들기
관례(冠禮)
계례(?禮)
민속culture읽기
1) 진세 - 들돌들기
1) 진세 ? 들돌들기
? 들돌들기 : 무거운 돌을 들어올리는 거석행위(擧石行爲)
? 소동(小童)이 두레패에서 온전한 장정(진쇠) 대접을 받게
되는 통과의례
양반의 관례에 대비되는 서민들의 성인식!
1) 진세 ? 들돌들기
? 소동의 나이 16-20세가 되어, 노동력의 기준이 되는 체력이 뒷받침 된다고 판단될 때 신입례(新入禮)를 치를 자격이 부여됨
? 마을 사람들이 지켜보는 앞에서 동수나무 또는 정자 앞에 있는 들돌을 들어올려, 온전한 일꾼으로 구실할 수 있음을 보여주면 이를 축하하고 답례하는 술이 오고감
1) 진세 ? 들돌들기
1) 진세 ? 들돌들기
1) 진세 ? 들돌들기
민속culture읽기
2) 관례(冠禮)
2) 관례(冠禮)
? 관혼상제의 하나로서, 외국의 성인식에 해당하는 의식
? 삼국시대, 예교가 유입됨에 따라 전래된 것으로 추정
? 고려시대, 광종 16년 태자 추(抽)에게 원복을 내림으로서
왕가에서 관례가 스타트되었다는 기록 존재
? 조선말기, 조혼경향과 개화기를 거쳐 서서히 사라짐
? 구조상 분리 / 경과 / 통합의례가 분명한 통과의례!
2) 관례(冠禮)
? 동자가 15-20세가 되는 해에 길일을 택하여 일가친척과 빈객을 초청하고 일정한 절차의 관례를 올림
? 관례 이후, 성인의 복장을 할 수 있고 관명(官名)과 자(字)를 쓰며, 혼례 및 임관의 자격과 함께 향교나 성균관에 입학 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받음
? 자기를 길러주신 부모님과 스승님, 자기가 살고 있는 국가와 사회에 대상으로하여 더욱 깊은 은혜를 깨닫고, 성인으로서의 책임을 다해야 함
2) 관례(冠禮)
? 관(冠)과 의복을 갈아입는 의미
- 관 : 망건 -> 초립(성인용 갓) -> 복두(과거급제자용 모자)
- 의복 : 사규삼(관례용 의복) -> …(drop)
Download : 민속문화읽기.ppt( 92 )
민속문화읽기,인문사회,레포트
민속문화읽기 , 민속문화읽기인문사회레포트 , 민속문화읽기






민속文化(문화)읽기
레포트/인문사회
민속文化(문화)읽기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