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복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9 19:03
본문
Download : 장애인 복지_2027719.hwp
장애인 복지
설명
장애인복지론97
레포트/인문사회
장애인 복지에 대한 글입니다.
③ 사회적 장애(handicap) : 기능상실이나 기능장애로 인한 사회적 reaction response, 선입관, 편견의식, 사회적 낙인 등과 같이 사회적 존재로서 장애인이 갖게 되는 불리에 착안하여 사회적 수준에서 파악한 장애를 사회적 장애라고 한다.
4. 장애인의 구분(장애인복지법시행령 제2조 관련) 및 등록제
1) 장애인의 구분
(1) 지체장애인(肢體障碍人)
① 한 팔, 한 다리 또는 몸통의 기능에 영속적인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②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지골관절(指骨關節) 이상 부위에서 잃은 사람 또는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한 손의 두 손가락 이상을 각각 제1지골관절 이상 부위에서 잃은 사람
③ 한 다리를 리스프랑(Lisfranc) 관절 이상 부위에서 잃은 사람
④ 두 발의 모든 발가락을 잃은 사람
⑤ 한 손의 엄지손가락의 기능에 영속적인 현저한 장애가 있거나,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한 손의 두 손가락의 기능을 잃은 사람
⑥ 왜소증으로 인하여 키가 심하게 작거나 척추에 현저한 변형 또는 기형이 있는 사람
⑦ 지체에 위 각목의 1에 해당하는 장애정도 이상의 장애가 있다고 인정되는 사람
(2) 뇌병변장애인(腦病變障碍人) - 뇌성마비,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腦卒中) 등 뇌의 기질적 병변에 기인한 신체적 장애로 보행 또는 일상생활동작 등에 제한을 받는 사람
(3) 시각장애인(視覺障…(drop)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다.장애인복지론97 , 장애인 복지인문사회레포트 ,
3. 장애의 유형(WHO・세계보건기구・1980)
① 기능상실(impairment) : 신체 일부의 손상이나 기능의 감손을 가져다준 영구적 또는 일시적 병리상태로서, 직접적인 질환에서 생기며 장애발생 부위나 기능에 착안하여 생물학적인 수준에서 파악한 장애이다.
② 기능(능력)장애(disability) : 기능상실로 인해 파생되어 일상생활이나 취업 등에 생기는 장애로서 정신적・신체적 손상의 결과일 뿐만 아니라 그 상태에 대한 개인의 適應(적응) 결과이기도 한다. 개체로서 수행 가능한 능력에 착안하여 인간개체의 수준에서 파악한 장애인다.






Download : 장애인 복지_2027719.hwp( 62 )
장애인 복지에 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