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종파사건 처리결과 체제 운영에 미친 influence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0 08:48
본문
Download : 8월 종파사건 처리결과 체제 운영에 미친 영향.hwp
레포트/경영경제
순서
3. 김일성의 반격 , 처리 결과
김일성의 반격은 9월 전원회의 이후 미코얀과 팽덕희가 평양을 떠나면서 처음 되었다. 전주민들을 대상으로 3계층 51개 분류의 component조사를 실시한 것도 이 무렵이며, 5호담당제라는 5가구 연대책임의 감시체계가 가동된 것도 이 시점이다. china(중국) 으로 망명한 윤공흠, 서휘, 리필규 외에 최창익과 고봉기(평양시 당 위원장) 등이 숙청되었다.
8월 종파사건 처리결과 체제 운영에 미친 influence
8월종파사건처리결과
설명
,경영경제,레포트
Download : 8월 종파사건 처리결과 체제 운영에 미친 영향.hwp( 58 )




다. 최창익, 서휘, 리필규, 김승화, 고봉기등에 대한 대대적인 비판이 진행되었다.8월종파사건처리결과 , 8월 종파사건 처리결과 체제 운영에 미친 영향경영경제레포트 ,
8월 종파사건 처리결과 체제 운영에 미친 influence에 대하여 說明(설명) 하고 있습니다. 지도부는 8월과 9월 전원회의 문헌학습을 조직해 반대파의 ‘반당 반혁명, 사대주의적 죄행’을 규탄했다. 전체적으로 반당 종파분자들에 연루된 혐의로 200여명 이상이 체포되었다. 동시에 지도부는 1956년 말부터 이듬해 초까지 전당적으로 당증을 교환하면서, 당원들에 대한 당성검토와 숙청을 동반했다.
1957년 5월 중앙위원회는 ‘반종파투쟁’을 더욱 강도높게 진행해갔다. 사건에 직접 가담하지 않았으나 움직임을 포착하고도 제때 알리지 않았다고 하여 김두봉도 심각하게 비판받았고, 결국은 권좌에서 숙청 당했다.
1958년 3월 북한은 제1화 당 대표자회의를 소집해 조선노동당에서 종파가 완전히 청산되었음을 formula(공식) 선언했다.
4. 8월 종파사건이 북한체제에 미친 effect
8월 종파사건에서는 겉으로 확연하게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연안파와 김일성파간에 조선인민군의 혁명전통의 원류를 어디에 둘 것인가 하는 문제, 다시 말해서 인민군의 정통성의 근거를 둘러싼 논쟁도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었다. 이로써 김일성을 비판할 수 있는 세력은 일소되었고, 명실상부한 김일성 중심의 단일지도체계가 확립되었다.
8월 종파사건으로 연안계는 완전히 몰락했고, 소련계도 대거 제거되었다. 또한 소련계인 김승화(건설상), 이상조(주 소련대사), 박영빈(무역상 부상)등은 소련으로 망명하거나 가혹한 사상검토를 견디다 못해 자진귀국 형식으로 소련으로 되돌아갔다. 연안파는 조선독립동맹의 무력이었던 조…(drop)
8월 종파사건 처리결과 체제 운영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과정에서 오기섭, 류축운 등이 현직에서 해임돼 숙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