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건축의 구성요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2 07:24
본문
Download : 한국전통건축의 구성요소.hwp
이들에 관하여는 통시적으로 시간의 추이에 따라 변화 있으며 시대적 편년이 이루어지나 아래에서는 공시적인 입장에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여 introduce하고자 한다. 그러나 축이 설정된다고 하여 반드시 좌우가 대칭인것은 아닐것이다. 이들에 관하여는 통시적으로 시간의 추이에 따라 변화 있으며 시대적 편년이 이루어지나 아래에서는 공시적인 입장에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순서
Download : 한국전통건축의 구성요소.hwp( 85 )
내부공간구성요소는 건물의 구체적인 의장요소들로 배치와 평면, 기단, 초석, 기둥, 가구, 벽체와 창호, 공포대, 지붕, 바닥, 천장 등이고 외부공간구성요소는 건물밖의 난간, 대문, 굴뚝, 석물, 샘터와 도랑, 석루조, 다리, 연못과 정자, 석단, 화단, 석계, 징검돌과 돌길, 식재, 마당, 담장, 색채 등이다. , 한국전통건축의 구성요소공학기술레포트 ,
설명
내부공간구성요소는 건물의 구체적인 의장요소들로 배치와 평면, 기단, 초석, 기둥, 가구, 벽체와 창호, 공포대, 지붕, 바닥, 천장 등이고 외부공간구성요소는 건물밖의 난간, 대문, 굴뚝, 석물, 샘터와 도랑, 석루조, 다리, 연못과 정자, 석단, 화단, 석계, 징검돌과 돌길, 식재, 마당, 담장, 색채 등이다. .
한국의 전통건축에 있어서 평면의 모양은 크게 각형평면과 원형평면, 이형평면으로 나누어지며 또 각형평면은 정방형, 장방형, 육각형, 팔각형, 십자형 등으로 세분된다 원형평면은 특수한 것으로 목조건축에서는 찾아볼 수 없고 석굴암본실의 평면에서 나타난다. 좌향은 건축물이 어떤 집터에 앉음으로써 좌가 생기고 그 건축물이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향이 결정된다 좌향의 개념(槪念)이 언제부터 이루어졌는지 몰라도 아마 풍수지리설이 삼국시대에 이미 도입되었고, 고려에서는 개국초부터 도읍의 선정, 궁절의 건축 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보아 상당히 오래 전부터라 생각된다
사찰의 배치에서는 대부분 축이 설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아 축을 중심으로 해서 일주문, 사천왕문, 문루, 중정, 금당 등의 순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한국전통건축의 구성요소
레포트/공학기술
,공학기술,레포트
1) 내부공간 구성요소
(1) 배치와 평면
(2) 기단
(3) 초석
(4) 기둥
(5) 가구
(6) 벽체와 창호
(7) 공포대
(8) 지붕
(9) 바닥
(10) 천장
2) 한국건축의 외부공간구성요소
(1) 난간
(2) 대문
(3) 굴뚝
(4) 석물
(5) 샘터
(6) 도랑
(7) 다리
(8) 석루조
(9) 석단, 화계, 석계
(10) 연못과 정자
(11) 징검돌, 돌길
(12) 식재
(13) 마당
(14) 담장
(1) 배치와 평면
집터 위에 집을 앉히는 방법을 배치라 하며 이는 좌향과 관계가 깊다. 이형평면으로서는 선형평면이 있는바 창덕궁 금원의 관람정평면이 이에 해당된다
(2) 기단 …(省略)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