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와 한국의 현대건축의 지역주의에 관한 연구 - 루이스바리간과 김중업을 중심으로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00:42
본문
Download : 한국의 현대건축의 지역주의에 관한 연.hwp
따라서 지역성, 장소성을 구현하는 것은 오늘날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요즘에는 ‘장소성’이나 ‘Landscape’ 또는 ‘맥락주의’에 관한 주제가 다양한 형태로 논의되고 있다아
1. 서론 근대건축운동은 과거 양식과 대지 속박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보편적이고 기능적인 공간을 지향하였다. 사람들은 ‘지역성’과 동떨어진 공간에서 거주의 의미와 함께 자신의 정체성을 상실하게 되었다.
다. 좌측 창에서 들어온 빛은 벽면의 황금색판(괴리츠의 작품)에 빛나고, 분홍색 벽에 반사되어 계단 옆 흰 벽에 비친다. 거실 서쪽벽은 큰 유리창으로 하여 외부정원을 실내로 끌어들였다. 지역성의 반영으로 거주의 의미를 되찾으려는 노력은 때때로 근대건축의 흐름을 하기도하고, 그 토대 위에서 전통기술, 장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기도 하였다.
1. 서론
Download : 한국의 현대건축의 지역주의에 관한 연.hwp( 30 )
1. 서론
멕시코와 한국의 현대건축의 지역주의에 관한 연구 - 루이스바리간과 김중업을 중심으로 -
설명
멕시코, 한국, 현대건축, 건축, 지역주의, 루이스바리간, 김중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2. 멕시코 현대건축의 지역주의
근대건축운동은 과거 양식과 대지 속박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보편적이고 기능적인 공간을 지향하였다.
내부에서는 주 생활공간에 도달 전에 Lois Barragan 「Barragan house」
전이공간을 두어 사용자의 시선 및 동선을 의도하였고, 내부공간 진입부에 계단을 이용한 단차이를 두어 넒은 홀공간 이전의 긴장감을 더했다. 따라서 지역성, 장소성을 구현하는 것은 오늘날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아 지역성의 반영으로 거주의 의미를 되찾으려는 노력은 때때로 근대건축의 흐름을 하기도하고, 그 토대 위에서 전통기술, 장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기도 하였다. 복도형의 전이공간은 의도적인 우회적접근으로 침실의 프라이버시를 높이고, 침실공간에는 창이 4부분으로 나뉘어져 사용자가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람들은 ‘지역성’과 동떨어진 공간에서 거주의 의미와 함께 자신의 정체성을 상실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삶의 양식은 배제되고 획일화된 형태의 거주공간이 나타나게 되었다. 분홍색은 하늘색과 보색이고 적색은 나무의 색인 녹색과 보색이다. 또한 요즘에는 ‘장소성’이나 ‘Landscape’ 또는 ‘맥락주의’에 관한 주제가 다양한 형태로 논의되고 있다. 분홍색은 하늘색과 보색이고 적색은 나무의 색인 녹색과 보색이다. 내부에서는 주 생활공간에 도달 전에 Lois Barragan 「Barragan house」 전이공간을 두어 사용자의 시선 및 동선을 의도하였고, 내부공간 진입부에 계단을 이용한 단차이를 두어 넒은 홀공간 이전의 긴장감을 더했다. <중 략> 접한 색들이 서로를 자극해 더 선명하게끔 한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삶의 양식은 배제되고 획일화된 형태의 거주공간이 나타나게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지역성구현’에 대한 논의가 현대에 전통을 적용하는 방식에 대한 문제 또는 세계 속에서 우리의 고유성을 확보하는 방법에 대한 문제와 결부되어 다각적 실험과 언설이 있었다.순서
2. 현대 건축에서의 지역주의
2-3. 한국 현대건축의 지역주의
3-1. 멕시코의 지역주의 건축가 ‘Luis Barragan’
3-4. Luis Barragan의 ‘Barragan house’와 김중업의 ‘주한 프랑스대사관‘
3-2. 한국의 건축가 ‘김중업’
2-1. 지역성의 열림
4. 結論
<중 략>
3. 지역주의 건축가
접한 색들이 서로를 자극해 더 선명하게끔 한다.
3-3. ‘Luis Barragan’과 김중업의 건축
5. 출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지역성구현’에 대한 논의가 현대에 전통을 적용하는 방식에 대한 문제 또는 세계 속에서 우리의 고유성을 확보하는 방법에 대한 문제와 결부되어 다각적 실험과 언설이 있었다. 거실 서쪽벽은 큰 유리창으로 하여 외부정원을 실내로 끌어들였다. 복도형의 전이공간은 의도적인 우회적접근으로 침실의 프라이버시를 높이고, 침실공간에는 창이 4부분으로 나뉘어져 사용자가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좌측 창에서 들어온 빛은 벽면의 황금색판(괴리츠의 작품)에 빛나고, 분홍색 벽에 반사되어 계단 옆 흰 벽에 비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