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정치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6 21:32
본문
Download : 북한정치론.hwp
3. 북한 정권은 수많은 인민들을 굶겨 죽일 뿐만 아니라 살길을 찾아가는
자유마저 빼앗고 있다
Ⅱ. 정치생활에서의 인권 유린
1. 당의 관료주의와 인권 유린
2. 북한의 법은 선전용, 실상은 무법천지
3. 출신component에 따르는 差別(차별) 대우와 연좌제
Ⅲ. 사상, 文化(culture) 생활에서의 인권 유린
1. 사상적 노예화
2. 우민화를 위한 文化(culture) 생활
3. 사랑과 도덕을 빼앗는 수령절대주의
제3장. 북한의 인권 문제 해결 방도
Ⅰ. 수령절대주의의 제거
1. 군대는 폭력적 통제수단이지 영도적 역량은 아닌 것이다.순서
북한정치론에 대한 글입니다.
history(역사) 또한 ‘허위선전의 종합본’으로 볼 수 있는 김일성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를 통해 위조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김정일은 김일성의 혁명활동을 주제로 하는 소설을 대대적으로 쓰고 영화를 많이 만들어 전당과 전국민이 의무적으로 학습하도록 하였다. 특히 김일성의 회고록은 필독학습 문헌으로 지정되기까지 하여 모든 급의 학습반에서 의무적으로 학습하는 한편, 황장엽 씨를 비롯한 일부 계층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회고록 출판사업은 김일성 사망 후에도 계…(투비컨티뉴드 )
레포트/감상서평
북한정치론발표
설명
,감상서평,레포트
북한정치론에 대한 글입니다.북한정치론발표 , 북한정치론감상서평레포트 ,
Download : 북한정치론.hwp( 64 )
북한정치론






다. 물론 북한 사람들은 소설과 영화의 내용만을 history(역사) 적 사실과 같이 생각하게 되었음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2. 군인들은 사회 생활 전반에 관한 文化(culture) 수준이 낮은데, 권력을 가지다
보니 인민대중과의 관계에서 마찰을 일으키게 된다
3. 군대의 수효가 너무 많기 때문에 인민들이 그들의 특권적 요구를
제대로 충족시켜 주지 못하는 데로부터 많은 부정적 현상이 일어난다.
(2) 수령의 유일적 영도를 보장하기 위한 사업체계
(3) 2중, 3중의 독재체제
(4) 수령절대주의 생활양식화
3. 사상文化(culture) 생활의 수령절대주의화
(1) 교육제도의 유일사상화
(2) 文化(culture) 제도의 유일사상화
Ⅳ. 독재자로서의 김일성과 김정일
제2장. 북한에서 본 인권 유린 실태(實態)
Ⅰ. 경제생활에서의 인권유린
1. 북한 정권은 주민들에게 초보적인 삶의 조건도 보장해주지 않고
대량으로 굶겨 죽이고 있다
2. 무엇보다도 큰 인권유린은 수백만 근로자들을 굶겨 죽이고 있는 것이다.
4. 군인들이 인민들과 접촉하는 과정에 사회생활 실정을 알게 되면서
자기들의 비참한 처지를 자각하게 되고 불만이 커질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5. 군대를 병영 안에 가두어 두고 세상을 모르게 하는 조건에서만 최고
사령관의 명령밖에 모르는 충실한 수단으로 될 수 있다
Ⅱ. 남한의 역할
Ⅲ. 교포들의 역할
Ⅳ. 국제적 협조
Ⅴ. conclusion(결론)
☞ 맺는말
* 참고 도서 : 어둠의 편이 된 햇볕은 어둠을 밝힐 수 없다.
이렇듯 김일성을 신격화하고 항일 빨치산 투쟁을 과장, 왜곡한 것은 김일성 자신보다도 김정일이 앞장서 조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김일성이 조선 국내에서 투쟁한 증거로 나무껍질을 벗기고 거기에 ‘日本 제국주의 타도’, ‘조선독립 만세’ 등 여러 가지 반일구호를 붓으로 써 놓은 것이 국내 도처에서 발견되었다는 ‘구호나무’ 소동(그 수가 1만 수천 그루에 달함)과 김정일이 백두산 밀영에서 1942년 2월 16일에 ‘광명성’으로 탄생하였다는 설만 보아도 그 허구성을 으레 짐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북조선을 소련의 붉은 군대가 아니라 88특수여단에 있던 몇십 명의 김일성 빨치산이 해방되었다고 주장하는 것도 한 예가 될 것이다.
☞ 들어가며
제1장. 인권과 양립할 수 없는 수령절대주의 체제
Ⅰ. 수령절대주의 체제의 본질적 특징
Ⅱ. 수령절대주의의 사상적 지반
1. 김일성, 김정일 ‘혁명history(역사) ’의 과장과 위조
2. 주체사상의 수령절대주의 사상으로의 전환
Ⅲ. 수령절대주의의 사회제도적 지반
1. 경제생활에서의 수령절대주의화
(1) 수령의 소유제도
(2) 수령을 위하여 복무하는 경제 생활
2. 정치생활에서의 수령절대주의화
(1) 사회의 모든 성원들을 유일적인 정치조직에 망라시킨다.
(황장엽 저, 월간조선사, 2001)
Ⅱ. 수령절대주의의 사상적 지반
북한 통치자들은 수령절대주의를 정당화하기 위해 김일성과 김정일의 혁명활동 history(역사) 라는 것을 터무니없이 과장하고 위조하여 선전하며, 지도사상인 주체사상을 봉건사상으로 왜곡하며 선전하고 있다
1. 김일성, 김정일 ‘혁명history(역사) ’의 과장과 위조
우리는 김일성과 그의 전우들이 항일 빨치산 투쟁에 참가한 사실을 응당히 평가하고 있으나 북한에서는 이러한 김일성의 혁명활동 history(역사) 를 터무니없이 과장, 왜곡하고 있다 특히 1930년 중학교 공부도 하지 못하고 투쟁경험도 없었던 18살의 김일성이 주체사상을 창시하였다는 것은 정상적인 상식으로 믿을 수가 없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