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하사탕」을 보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3 22:31
본문
Download : 「박하사탕」을 보고.hwp
영화 속에 숨겨져 있는 많은 장치들을 보아도 어떤 감동을 느끼지 못하는 것은 내가 시대를 관통한 사람이 아니기 때문일것이다
또한 영화의 주인공인 김영호가 지금은 이렇게 삶의 벼랑 위에 서 있는 사람이지만 예전에는 순수한 사람이었다는 투의 이야기 방식이 마음에 들지 않았던 것도 하나의 이유이다. 한마디로 내가 「박하사탕」을 보고도 감동을 느끼지 못한 이유가 영화 속에 충분히 녹아있다는 것을 이야기 위해서 이다.
설명
순서
「박하사탕」을 보고
1. 서론
2. 본론
- 시간 구성
- 절뚝거림
- 삶은 아름답다?
3. 結論(결론)
1. 서론
어째서 일까? 영화사에 길이 남을 수작이라는 이창동 감독의 영화 「박하사탕」을 보고도 아무런 감동과 여흥을 느끼지 못하는 것은. 내가 감정이 메말라 있는 사람이라 그런가. 그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1979년 어느 날, 구로 공단의 야학에 다니는 영호는 야학 친구들과 야유회를 간다. 전체 7개의 장으로 되어있는 이 영화는 일반적인 영화들이 순차적인 시간 구성을 쓰는 데, 반해 시간을 거꾸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영화는 처음 김영호의 초취한 모습을 보여준다.
보통 영화평은 감명 깊게 본 영화를 쓰는 것이지만, 나는 이 영화의 형식 뒤집기처럼 약간 내용을 뒤집어 영화평을 쓰려고 한다. 그러면 우리는 영화를 다시 편집하여 차근차근 순차적으로 구성해 보자. 종래의 영화가 김영호를 타락하고 때묻기 전으로 가져가고, 영화 중간중간에 삽입된 歷史(역사)적 사실에 주목한다면, 이 구성은 한 인물의 일대기를 보여주고 그가 alteration(변화) 해 가는 과정과 결말을 알려줄 것이다.
2. 본론
1)거슬러 오르기
「박하사탕」의 시간 구성이 특이한 것은 사실이다. 여기서 영호는 자신의 첫사랑이 될 순임을 만나게…(drop)
Download : 「박하사탕」을 보고.hwp( 31 )
레포트/인문사회
「박하사탕」을 보고희곡론 , 「박하사탕」을 보고인문사회레포트 ,





희곡론
「박하사탕」을 보고
,인문사회,레포트
다. 그럼 많은 평자들이 이 영화를 수작이라고 평가하는 영화 속 장치들을 하나하나 이야기하며 평을 진행시키겠다. 철도 다리 밑에서 ‘가리봉 봉우회’에 느닷없이 찾아온 김영호는 돌연 철도 위로 올라가 “나 돌아갈래”를 외치며 자살한다. 이제부터 영화는 필름을 감기 스타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