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의 하위분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20:53
본문
Download : 참고자.hwp
그러나 아프리카의 몇몇 나라에서처럼 혀 차는 소리(clicks)가 음운적 대립을 이룰 때 그들은 당연히 음성학의 대상이 된다.)한편, 휘파람, 키스하는 소리, 노크하는 소리, 혀 차는 소리, 웃음소리 등은 비록 의사나 감정을 나타내는 소리이긴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들은 말소리가 아니기 때문에 음성학의 대상 밖이 된다. (어떤 문화권에서는 잘 먹었다는 소리로 트림을 내기도 하는데, 그런 경우에 트림이 음성학의 대상이 되는가는 문제가 될 것이다. 2.음운론(phonology)
3.형태론(morphology)
국어학의하위분야 국어학의분류 음성학 통사론 국어학 / (국어학)
4.통사론(syntax)
음성학(phenetics)은 ‘인간이 의사소통을 위한 조음기관을 사용해서 내는 말소리를 연구하는 학문’ 이다.
1. 음성학(phenetics)
5. 의미론(semantics)
1. 음성학(phenetics)





Ⅲ 決 論
국어학의하위분야 국어학의분류 음성학 통사론 국어학
설명
6. 화용론(pramatics)
Ⅱ 本 論
국어학의하위분야 국어학의분류 음성학 통사론 국어학 / (국어학)
Ⅰ 序 論
언어학의 하위분야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참고자.hwp( 78 )
다. 둘째로 음성학은 의사전달을 위해 내는 소리에 대한 학문이므로, 하품, 코고는 소리, 기침, 숨쉬는 소리, 트림 등을 비록 조음기관을 이용해서 내는 소리이긴 하지만 이들은 생리적인 반사 음이기 때문에 음성학의 대상이 못된다. 이 같은 definition 를 내게 된 까닭을 설명(explanation)할 필요가 있다아 첫째, 음성학은 말소리에 대한 학문이므로 삼라만상의 일부로 들리는 바람소리, 번개 치는 소리, 비 떨어지는 소리 등은 당연히 음성학의 대상 밖이 된다.